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WSL 환경에서 헤더 파일을 못 찾는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 WSL 2 + Ubuntu 20.04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원래는 "linux-headers..."를 설치하면 된다고 하는데 WSL 환경인 경우 apt repo에 등록되지 않아 설치가 안 됩니다.

$ uname -r
5.15.153.1-microsoft-standard-WSL2

$ sudo apt install linux-headers-`uname -r`
Reading package lists... Done
Building dependency tree
Reading state information... Done
E: Unable to locate package linux-headers-5.15.153.1-microsoft-standard-WSL2
E: Couldn't find any package by glob 'linux-headers-5.15.153.1-microsoft-standard-WSL2'

검색해 보면 WSL2-Linux-Kernel를 빌드해 구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cant install linux headers on kali running on wsl kernel #1253
; https://github.com/MicrosoftDocs/WSL/issues/1253

보니까, 제가 설치한 Ubuntu 20.04의 경우에는 커널 헤더를 포함하고 있어 빌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 ll /usr/include/x86_64-linux-gnu/asm/types.h
-rw-r--r-- 1 root root 31 Aug 29 21:06 /usr/include/x86_64-linux-gnu/asm/types.h

따라서 그냥 링크만 거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sudo ln -s /usr/include/x86_64-linux-gnu/asm /usr/include/asm




테스트를 위해 Kali 리눅스를 WSL에 설치했더니 /usr/include 디렉터리가 거의 비어 있는 수준입니다.

$ ll  /usr/include
total 16
drwxr-xr-x 2 root root  4096 Jun  5 10:20 iproute2
-rw-r--r-- 1 root root 11959 Mar 12  2024 sudo_plugin.h

(아마도 Ubuntu도 그랬을 것 같은데요) 대신 build-essential만 설치하면,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이후 커널 관련 헤더가 설치되었습니다.

$ ll /usr/include/x86_64-linux-gnu
total 52
-rw-r--r-- 1 root root  4351 Jun 11 05:25 a.out.h
drwxr-xr-x 2 root root  4096 Sep 10 23:14 asm
drwxr-xr-x 4 root root 12288 Sep 10 23:14 bits
drwxr-xr-x 3 root root  4096 Sep 10 23:14 c++
-rw-r--r-- 1 root root  3553 Jun 11 05:25 fpu_control.h
drwxr-xr-x 2 root root  4096 Sep 10 23:14 gnu
-rw-r--r-- 1 root root  4916 Jun 11 05:25 ieee754.h
drwxr-xr-x 2 root root  4096 Sep 10 23:15 openssl
drwxr-xr-x 3 root root  4096 Sep 10 23:14 sy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7정성태11/1/20248134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7560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6845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6878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6819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6098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6435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6003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7198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5612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7502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7005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6211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6825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6469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5949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6663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7876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6064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7976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6369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7363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7489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6996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6623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6960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