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192. Visual Studio 2022 - Windows XP / 2003용 C/C++ 프로젝트 빌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9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22 - Windows XP / 2003용 C/C++ 프로젝트 빌드

Visual Studio 2022에서 기본 C/C++ 프로젝트를 생성한 다음,

#include <iostream>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n";
}

빌드한 결과물을 Windows XP / 2003에서 실행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xptest.exe is not a valid Win32 application.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XP용으로 빌드하도록 설정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우선 Visual Studio 측에 다음의 구성 요소를 설치해야 합니다.

["Tools" / "Get Tools and Features..." 메뉴]

"Individual components" 탭 / "Compilers, build tools, and runtimes" 카테고리 - "C++ Windows XP Support for VS 2017 (v141) tools [Deprecated]" 

이후, C++ 프로젝트 속성창에 들어가 "Properties" / "General" / "Platform Toolset"을 "Visual Studio 2017 - Windows XP (v141_xp)"로 변경하면 됩니다. (참고로, 이렇게 변경하면 Windows SDK Version도 자동으로 "7.0"으로 바뀝니다.)

끝입니다. 이제 빌드하고 다시 실행하면 XP/2003에서도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경우에 따라 XP/2003에서 실행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xptest.exe - Unable To Locate Component

This application has failed to start because MSVCP14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application may fix this problem. 

전에 한 번 언급했지만, 이것은 재배포 런타임("Microsoft Visual C++ 2015 Redistributable Update 3")을 설치하면 됩니다.

VCRUNTIME140.dll,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714




위와 같은 문제를 겪지 않기 위해, "MSVCP140.dll" 의존성을 갖지 않도록 C/C++ / "Code Generation" 범주의 "Runtime Library" 값을 "Multi-threaded (/MT)"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건, 이렇게 설정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2022에서 빌드하면 문제가 없는데, 2019에서 빌드하면 XP/200에서 실행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xptest.exe - Entry Point Not Found

The procedure entry point InitializeCriticalSectionEx could not be located in the dynamic link library KERNEL32.dll. 

이것 역시 전에 언급한 것처럼, CRT 라이브러리가 더 이상 XP/2003을 지원하지 않으면서 발생한 변화였는데요, 웬일인지 동일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2019에서 빌드하면 InitializeCriticalSectionEx를 사용하는 PE 파일을 생성하게 됩니다.

// Visual Studio 2019 + /MT 옵션으로 빌드한 경우,

c:\temp> dumpbin /IMPORTS xptest.exe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41.34120.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xptest.exe

File Type: EXECUTABLE IMAGE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imports:

    KERNEL32.dll
                41A000 Import Address Table
                426230 Import Name Table
                     0 time date stamp
                     0 Index of first forwarder reference

                   EA EncodePointer
                   CA DecodePointer
                   EE EnterCriticalSection
                  339 LeaveCriticalSection
                  2E4 InitializeCriticalSectionEx
                   D1 DeleteCriticalSection
                  367 MultiByteToWideChar
                  511 WideCharToMultiByte
                  32C LCMapStringEx
                // ...[생략]...

반면, Visual Studio 2022에서 동일한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InitializeCriticalSectionEx를 사용하지 않는 PE 파일을 생성합니다.

// Visual Studio 2022 + /MT 옵션으로 빌드한 경우, 
// (아마도 Visual Studio 2022용 빌드 도구에서도 가능하긴 할 것입니다.)

c:\temp> dumpbin /IMPORTS xptest.exe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41.34120.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xptest.exe

File Type: EXECUTABLE IMAGE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imports:

    KERNEL32.dll
                41B000 Import Address Table
                429408 Import Name Table
                     0 time date stamp
                     0 Index of first forwarder reference

                  202 GetLastError
                  511 WideCharToMultiByte
                  473 SetLastError
                  2E3 InitializeCriticalSectionAndSpinCount
                  4BC SwitchToThread
                  4C5 TlsAlloc
                  4C7 TlsGetValue
                  4C8 TlsSetValue
                  4C6 TlsFree
                // ...[생략]...

따라서 만약 2019 버전으로 빌드해야 한다면 반드시 "Multi-threaded DLL (/MD)" 옵션으로 빌드해야 합니다.

(그렇긴 한데, 설마 요즘에도 XP/2003을 쓰고 있는 환경은 없겠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54정성태10/4/2024261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264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345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500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652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820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896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833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826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841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920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1173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3742정성태9/26/2024978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1]파일 다운로드1
13741정성태9/25/2024823디버깅 기술: 202. windbg - ASP.NET MVC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 분석 시 요령
13740정성태9/24/2024906기타: 86. RSA 공개키 등의 modulus 값에 0x00 선행 바이트가 있는 이유(ASN.1 인코딩)
13739정성태9/24/20241003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ublic Key 파일 해석과 fingerprint 값(md5, sha256)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738정성태9/22/2024938C/C++: 174. C/C++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file descriptor, FILE*파일 다운로드1
13737정성태9/21/20241078개발 환경 구성: 727. Visual C++ - 리눅스 프로젝트를 위한 빌드 서버의 msbuild 구성
13736정성태9/20/20241202오류 유형: 923. Visual Studio Code - Could not establish connection to "...": Port forwarding is disabled.
13735정성태9/20/20241294개발 환경 구성: 726. ARM 플랫폼용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빌드
13734정성태9/19/20241332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13733정성태9/19/20241242VS.NET IDE: 194. Visual Studio - Cross Platform / "Authentication Type: Private Key"로 접속하는 방법
13732정성태9/17/20241217개발 환경 구성: 724. ARM + docker 환경에서 .NET 8 설치
13731정성태9/15/20241601개발 환경 구성: 723. C# / Visual C++ - Control Flow Guard (CFG) 활성화 [1]파일 다운로드2
13730정성태9/10/20241183오류 유형: 922. docker - RULE_APPEND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rule in chain DOCK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