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02. Visual Studio -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2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Visual Studio에서 csproj의 ItemGroup/Content를 이용한 파일 복사를 하다 보면,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IronPython" Version="3.4.1" />
        <PackageReference Include="IronPython.StdLib" Version="3.4.1" />
    </ItemGroup>

    <ItemGroup>
        <Content Include="C:\Python310\**">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Content>
    </ItemGroup>

    <ItemGroup>
        <None Update="test.py">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Project>

경우에 따라 이런 복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MSBuild\Current\Bin\amd64\Microsoft.Common.CurrentVersion.targets(5254,5):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C:\Python312\tensorflow\python\Lib\site-packages\tensorflow\include\tensorflow\compiler\xla\mlir_hlo\_virtual_includes\shape_component_analysis\mhlo\analysis\shape_component_analysis.h" to "bin\Debug\net8.0\python\Lib\site-packages\tensorflow\include\tensorflow\compiler\xla\mlir_hlo\_virtual_includes\shape_component_analysis\mhlo\analysis\shape_component_analysis.h".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bin\Debug\net8.0\python\Lib\site-packages\tensorflow\include\tensorflow\compiler\xla\mlir_hlo\_virtual_includes\shape_component_analysis\mhlo\analysis\shape_component_analysis.h'.


메시지에 포함된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문구가 다소 혼란스러운데요, 물론 경로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겠지만 위와 같은 경우에는 경로가 너무 길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재미있는 건, 해당 문제는 비주얼 스튜디오와 MSBuild로 빌드할 때만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반면 dotnet으로 직접 빌드하면 오류 없이 잘 복사가 됩니다. ^^;

이상하군요, 원래 dotnet은 내부적으로 MSBuild를 호출하는 것으로 아는데... 어쨌든, 현상이 저렇게 나옵니다.




만약 명령행으로 빌드하는 경우라면, 그냥 msbuild에서 dotnet으로 변경하면 되겠지만 문제는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빌드 시 저런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경우 문제 해결이 아닌, 우회 해법으로 그냥 경로가 너무 길지 않도록 OutputPath를 지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 생략 -->

    <PropertyGroup Condition="'$(Configuration)' == 'Debug'">
        <OutputPath>c:\temp\Console</OutputPath>
    </PropertyGroup>
</Project>

msbuild ConsoleApp3.csproj -p:Configuration=Debug

또는, Windows 10 이상의 운영체제라면 깔끔하게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해 제약을 없앨 수 있습니다.

Enable Long Paths in Windows 10, Version 1607, and Lat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fileio/maximum-file-path-limitation?tabs=registry
; https://www.backupery.com/how-to-enable-ntfs-long-paths-in-windows/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FileSystem]
"LongPathsEnabled"=dword:00000001

(과거 버전은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현재의 Windows 11 환경에서는 재부팅 필요 없이 바로 반영돼 오류 없이 빌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3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50정성태6/18/20247262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155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7124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7966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6835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745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7863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7540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7623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7754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7784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7537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7631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7894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3636정성태5/30/20247644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635정성태5/29/20248033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
13634정성태5/24/20248328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
13633정성태5/22/20247884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13632정성태5/20/20248043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13631정성태5/19/20248457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
13630정성태5/19/20248481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13629정성태5/18/20248498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13628정성태5/17/20247998개발 환경 구성: 709. Windows - WHPX(Windows Hypervisor Platform)를 이용한 Android Emulator 가속
13627정성태5/17/20248070오류 유형: 904. 파이썬 -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 '...' in position ...: ordinal not in range(128)
13626정성태5/15/20247893Phone: 15. C# MAUI - MediaElement Source 경로 지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25정성태5/14/20248168닷넷: 2262. C# - Exception Filter 조건(when)을 갖는 catch 절의 IL 구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