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here is a problem with AMD Radeon RX 5600 XT device. For more information, search for 'graphics device driver error code 31'

Radeon driver를 설치했더니, 잘 되었나 싶어 쓰다가 뭔가 이상해 장치 드라이버를 보니 이렇게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radeon_xt_driver_1.png

This device is not working properly because Windows cannot load the drivers required for this device. (Code 31)

The I/O device is configured incorrectly or the configuration parameters to the driver are incorrect.

그래서 다시 설치를 시도했더니 잘 인식이 되는가 싶다가도 잠시 후에 마찬가지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확인을 해보니, Windows Update에서 자동으로 설치하는 "Advanced Micro Devices, Inc." 장치 드라이버 때문으로 보입니다.

radeon_xt_driver_2.png

그러니까, AMD Radeon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Windows Update 드라이버가 다시 설치되면서 "code 31" 상황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방법은, Windows Update로 설치되는 드라이버를 무시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device manager에서 "AMD Radeon RX 5600 XT" 장치를 우 클릭해 "Update driver"를 선택 후,

radeon_xt_driver_3.png

뜨는 창에서 "Browse my computer for drivers" 항목을 선택해 로컬에 풀린 AMD Adrenalin 경로를 지정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경로를 지정했습니다.

C:\AMD\AMD-Software-Adrenalin-Edition-22.9.2-Win10-Win11-Sep27\Packages\Drivers\Display\WT6A_INF

이렇게 수작업으로 장치 업데이트를 하고 나면 더 이상 Windows Udpate로부터 "Advanced Micro Devices, Inc." 드라이버를 자동 설치하진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03정성태11/7/20242997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3252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2947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3937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2870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2811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3110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2926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2771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2890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2832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2416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2848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2734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2517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2680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2484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2939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3001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3018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2883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2652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2565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2764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2801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3042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